와카시오 (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카시오는 1972년 7월 15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특급 열차로, 도쿄역과 아와카모가와역 사이를 소부 본선 및 소토보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1993년 255계 전동차, 2004년 E257계 500번대 전동차가 도입되었으며,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E257계 5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와카시오라는 명칭은 조수 간만의 차가 커지는 조류인 와카시오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요선 - 엣추지마역
1990년에 개업한 게이요선의 엣추지마역은 도쿄 해양대학 인근에 위치하며 역 번호 JE03을 가지고 있고,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5,221명이 이용하는 도쿄 23구 내 JR역 중 이용객 수가 적은 역 중 하나이다. - 게이요선 -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린카이선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린카이선은 도쿄 임해 고속 철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신키바역과 오사키역을 잇는 12.2km의 철도 노선으로, 사이쿄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임해 부도심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소토보선 - 소가역
소가역은 지바현 지바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소속의 철도역이자 게이요 임해철도 린카이 본선의 환승역으로, 쇼핑몰과 인접 시설들을 갖춘 지바 시민의 주요 교통 허브이다. - 소토보선 - 아와아마쓰역
지바현 가모가와시에 있는 아와아마쓰역은 1929년 개업한 JR 동일본 소토보 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무인역으로 운영되다가 Suica 사용이 가능해졌고, 주변에는 해수욕장과 신명궁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열차 - 나리타 익스프레스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JR 동일본의 공항철도로, 신주쿠역 또는 오후나역에서 출발하여 도쿄역을 경유, 나리타 국제공항역까지 E259계 전동차로 운행되며 모든 좌석이 지정석이고, 도쿄역과 나리타 공항역 간 소요시간은 약 53분에서 1시간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열차 - 하쿠타카
하쿠타카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고속 열차로, 다테 산의 백응 전설 속 흰 매에서 유래되었으며, 최고 260km/h의 속도로 도쿄역에서 쓰루가/가나자와/나가노역을 잇는다.
와카시오 (열차) | |
---|---|
개요 | |
![]() | |
종류 | 특별 급행 열차 |
운행 지역 | 도쿄도, 지바현 |
기점 | 도쿄역 |
종점 | 모바라역 가즈사이치노미야역 가쓰우라역 아와카모가와역 |
영업 거리 | 132.5 km (도쿄 - 아와카모가와 간) |
사용 노선 | 게이요선, 소토보선 |
차량 | E257계 전동차 (마쿠하리 차량센터) |
궤간 | 1,067 mm |
전철화 | 직류 1,500 V |
최고 속도 | 120 km/h |
비고 | 하행 1편은 가쓰우라역 - 아와카모가와역 구간을 보통 열차로 직통 운행 |
운행 정보 | |
운영 주체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이전 운영 주체 | 일본국유철도 (국철) |
운행 시작 | 1972년 7월 15일 |
열차 번호 | 1050M+호수 |
좌석 등급 | 보통차 지정석 |
장애인 지원 | 2호차 |
역사 | |
전신 | 급행 "소토보" |
2. 역사
1972년 7월 15일, 183계 전동차를 사용하여 ''와카시오'' 운행이 시작되었다.[10] 1991년 3월 16일부터는 통근자를 위한 야간 ''홈타운 와카시오'' 운행이 도쿄역에서 가즈사-이치노미야까지 운행을 시작했다.[11]
1993년 7월 2일부터 새로운 255계 전동차가 도입되었으며, 처음에는 ''뷰 와카시오''라는 브랜드로 운행되었다.[11] 1994년 12월 3일부터는 통근자를 위한 오전 ''오야호 와카시오'' 운행이 가즈사-이치노미야에서 도쿄역까지 운행을 시작했다.[11]
2004년 10월 16일부터 새로운 E257계 500번대 전동차가 도입되어 남은 183계 열차를 대체했다.[5] 2005년 12월 10일 시간표 개정부터 ''와카시오'' 운행은 전면 금연으로 변경되었다.[7]
1997년 도쿄만 아쿠아라인의 개통으로 더 저렴한 요금을 제공하는 장거리 버스 서비스와의 경쟁이 심화되었고, 그 결과 ''와카시오'' 운행의 이용객 수가 감소했다.[12] 2014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부터 운행 횟수가 하루 15회에서 13회 왕복으로 감소했다.[12]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와카시오 운행 횟수가 다시 감소할 예정이며, 남은 모든 정기 운행은 E257계 열차를 사용하여 5량 편성으로만 운행될 예정이다. 그 결과, 9량 및 10량 편성 열차는 더 이상 해당 운행에 투입되지 않는다. 또한, 신주쿠 발/착 운행은 일부 토요일과 공휴일에만 운행될 예정이다.[13]
외방선(구·보소 동선)에 유료의 우등 열차가 설정된 것은 전후의 1958년 (쇼와 33년)이지만, 전전의 1935년 (쇼와 10년) - 1940년 (쇼와 15년) 사이에, 해수욕객 등의 이용을 예상하여, 임시의 쾌속 열차(구칭: 준급 열차)에는 "'''시오'''" (潮) 등의 열차 애칭이 붙어 있었던 적이 있었다.
2. 1. 1972년 이전: 소토보선 우등 열차
1935년부터 1940년까지 해수욕객 수송을 위해 임시 쾌속 열차(구칭: 준급 열차)에 "시오" 등의 열차 애칭이 사용되었다. 외방선(구 보소 동선)에 유료 우등 열차가 설정된 것은 1958년이다.1952년부터 1954년까지 여름 임시 쾌속 "'''구로시오'''"가 신주쿠역 - 아와카모가와역 구간에서 휴일에만 운행되었다. 1953년 보소(房総) 동·서선이 "기동차 모델 선구"로 지정되어 1954년 여름에는 기동차로 매일 운행되었다.
1955년 11월 15일, 기동차를 사용한 동선구 최초의 정기 쾌속 열차가 설정되었다. 평일은 지바 출발, 휴일은 신주쿠 출발로, 아침에 신주쿠역 - 지바역 - 기사라즈역 - 다테야마역 - 아와카모가와역 - 오아미역 - 지바역으로 운행하고, 오후에 지바역에서 역 경로로 도는 순환 열차였다.
1958년 여름 임시 열차 "'''보소의 휴일호'''" (신주쿠역 - 토가와역 간)에 아와카모가와행을 병결하여 지바역에서 분할 병합했다. 같은 해 11월 10일, 준급 "이나보"에 보소 동선 (현재의 소토보선) 경유 아와카모가와행, 보소 서선 (현재의 우치보선) 경유 다테야마행 차량을 병결하여 다층 열차가 되면서 열차명이 "'''보소'''"로 변경되었다. 오승차 방지를 위해 조시행 차량에는 "보소(이나보)", 아와카모가와행 차량에는 "보소(소토보)", 다테야마행 차량에는 "보소(우치보)"와 같이 열차명 뒤에 괄호 표기가 이루어졌다.
1959년 7월 1일, "보소"를 "'''게이요'''"로 개칭하고 (괄호 표기는 계속), 소부 본선·보소 동선·보소 서선의 임시 준급 열차 2왕복을 증발하여 "보소"로 하였다. "보소"는 신주쿠역 - 조시역·(보소 동선·보소 서선 경유) 신주쿠역·(보소 서선·보소 동선 경유) 신주쿠역 간 준급 열차 (3층 열차이면서 순환 열차)로 운행되었으며, 계통별 괄호 표기도 답습되었다. 2왕복 모두 신주쿠역을 9량 편성으로 출발하여 지바역에서 3방향으로 분할, 보소 동선 - 보소 서선 경유의 "보소(소토보)"·보소 동선 - 보소 서선 경유 "보소(우치보)"가 보소 반도를 일주 (도중에 교차)한 후, 지바역에서 다시 조시역에서 온 상행의 "보소(이나보)"와 함께 3열차를 병결하여 신주쿠역으로 돌아오는 방식이었다.
1960년 4월 25일, "보소"가 정기 열차화되었고, 여름 임시 열차로 준급 "'''지토리'''"가 신주쿠 발 아와카모가와행 (하행 1편)으로 운행되었다. 11월 21일에는 "게이요"가 1왕복 증발되었지만, 증발분은 괄호 표기를 하지 않고 3방면 모두 하행이 "게이요 1호", 상행이 "게이요 2호"로 되었다.
1961년 "보소 여름 다이어"가 시작되면서 임시 준급 "'''기요스미'''"가 증발 (1왕복, 다음 해 2왕복)되었고, 10월 1일 "게이요"의 괄호 표기 애칭이 폐지되어 상하행 모두 출발 순서대로 "게이요 1호", "게이요 2호"로 변경되었다.
1962년 10월 1일, 준급은 보소 동·서선 계통과 소부 본선 계통의 신주쿠역·료고쿠역 - 지바역 간 병결 운전이 중지되었다. "보소"·"게이요"의 애칭을 보소 동선 계통 열차는 "'''소토보'''" (소토보), 보소 서선 계통 열차는 "'''우치보'''" (우치보)로 개칭하였고, "소토보"는 4왕복 운행되었다. "보소"의 순환 열차 계통은 아와카모가와역에서 "소토보"와 "우치보"의 애칭을 전환하였다.
1963년 4월 28일, 보소 여름 다이어의 임시 준급 명칭을 보소 서선은 "구로시오"로 통합 (하행 4편, 상행 3편 운행)하였고, 이 중 1왕복에는 정기 열차에 앞서 키로 28형을 연결하였다. 10월 1일, 료고쿠역 - 아와카모가와역 간에 키하 58계를 사용하여 전차 좌석 지정석의 준급 열차 "'''구로시오'''"가 신설되었고, 자유석만 있는 편성인 "소토보"와 구별되었다. 키로 28형은 "구로시오"와 "소토보" 1왕복에 연결되었다. 료고쿠역 - 지바역 간에는 보소 서선에 신설된 료고쿠역 - 다테야마역 간 운행의 "사자나미"와 병결 운행했다. "구로시오"는 1952년 여름 해수욕 시즌부터 임시 준급 열차로 등장했지만, 이때 정기 열차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기세이 본선이나 도산 본선에 이미 "구로시오"·"흑조"라는 우등 열차가 있어 3개 지역에서 같은 명칭이 동시 사용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1964년, 보소 여름 다이어의 임시 준급 명칭이 "기요스미"로 재개칭되어 3왕복 운행되었다.
1965년 10월 1일, "구로시오"에 자유석을 연결하여 "소토보"에 통합되었고, "소토보"의 읽기가 "소토보"로 개칭되었다.
1966년 3월 5일, 운행 거리가 100km를 넘는 준급 열차가 모두 급행 열차로 격상되면서 "소토보"는 급행 열차가 되었다.
1967년 보소 여름 다이어의 임시 급행 명칭이 "'''소토우미'''"로 개칭되었고 (하행 5편, 상행 4편 운행), 10월 1일 "소토보" 중 순환 운전을 하는 것이 "소토우미"로 개칭되었다 (5편 운행).
1968년 7월 1일, "소토우미"와 "소토보"가 "'''소토보'''"로 통합되었다. 이 해의 보소 여름 다이어부터 임시 급행도 "소토보" (50번대)로 통합되었으며, 해수욕 수송이 약 1200만명으로 피크를 맞았다.
1969년 7월 11일, 보소 서선 기사라즈역 - 치쿠라역 간 전철화로 "우치보"가 전철화되면서 "소토보"와의 료고쿠역 - 지바역 간 병결 운전과 순환 운전은 폐지되었다.
2. 2. 1972년 이후: 특급 와카시오
1972년 7월 15일, 183계 전동차를 사용하여 ''와카시오'' 운행이 시작되었다.[10] 초기에는 도쿄역과 아와카모가와역 사이를 소부 본선 및 소토보선을 경유하여 운행하였으며, 하행 6편, 상행 5편이 설정되었다.[23] 또한 계절에 따라 임시 열차 3왕복이 추가되었고, 그 중 1왕복은 신주쿠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23]1991년 3월 16일, 통근객들을 위해 야간 ''홈타운 와카시오''가 도쿄에서 가즈사-이치노미야까지 운행을 시작했다.[11] 1993년 7월 2일에는 새로운 255계 전동차가 도입되어 ''뷰 와카시오''라는 이름으로 운행되었다.[11] 1994년 12월 3일부터는 통근자를 위한 오전 ''오하요 와카시오''가 가즈사-이치노미야에서 도쿄까지 운행을 시작했다.[11]
2004년 10월 16일, E257계 500번대 전동차가 도입되어 기존에 남아있던 183계 열차를 대체했다.[5] 2005년 12월 10일 시간표 개정으로 ''와카시오''는 전면 금연으로 변경되었다.[7]
1997년 도쿄만 아쿠아라인 개통 이후, 저렴한 장거리 버스와의 경쟁 심화로 ''와카시오'' 이용객이 감소했다.[12] 2014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 횟수가 하루 15회 왕복에서 13회 왕복으로 감소했다.[12]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와카시오 운행 횟수는 다시 감소할 예정이다.[13] 모든 정기 운행은 E257계 열차를 사용하여 5량 편성으로만 운행되며, 9량 및 10량 편성은 더 이상 투입되지 않는다.[13] 신주쿠 발/착 운행은 일부 토요일과 공휴일에만 운행될 예정이다.[13] 또한, "신주쿠 와카시오"를 포함한 모든 열차를 전차 지정석으로 변경하고, 좌석 미지정권 서비스를 도입한다.[15]
3. 운행
하행선은 홀수 호번을, 상행선은 짝수 호번을 붙여 운행한다. 1호와 2호, 4호를 제외하고 약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1호를 제외한 모든 하행 열차는 매시 00분에 도쿄역을 출발하도록 시간표가 맞추어져 있다. 도쿄역에서 소가역까지는 33분, 모바라역까지는 56분, 가즈사이치노미야역까지는 1시간 2분, 가쓰우라역까지는 1시간 27분, 아와카모가와역까지는 1시간 55분이 걸린다.
하행 1호, 7호, 19호, 23호, 27호와 상행 8호, 10호, 18호, 30호는 가쓰우라 역과 아와카모가와 역 사이를 보통 열차 등급으로 운행하며, 모든 역에 정차한다. 이 구간에서는 별도의 특급 요금을 받지 않는다.
한편,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신주쿠역을 출발하는 《신주쿠와카시오》 호가 운행된다. 주오 본선과 소부 본선을 경유해 운행하며, 신주쿠발 열차는 우치보선 후토미역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한다.
2024년 3월 16일 현재, 모든 열차가 도쿄역을 상행의 기점·종점으로 하고 있으며, 아와카모가와역 발착이 5왕복, 가쓰우라역 발착이 3.5왕복[16], 가즈사 이치노미야역 종착이 하행선만 3편[17], 모바라역 시발이 상행선만 1편[18] 설정되어 있다. 하행선 1편은 가쓰우라역에서 보통열차 (전차량 자유석)로 아와카모가와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낮 시간에는 1~3시간 간격으로 1편이 운행되지만, 평일 이른 아침의 상행 열차는 운행 횟수가 늘어난다.
토요일, 공휴일에는 '''신주쿠 와카시오'''가 신주쿠역 - 아와카모가와역 구간을 주오 본선 경유로 운행된다. 신주쿠 출발 열차에 한해 우치보선 후토미역까지 연장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는 하계에 183계로 '''비치인 BOSO 와카시오'''로 운행되었다.
; 정차역
: 신주쿠역 - 킨시초역 - 후나바시역 - 지바역 - 소가역 - 오아미역 - 모바라역 - 카즈사-이치노미야역 - 오하라역 - 온주쿠역 - 카츠우라역 - 카즈사오키츠역 - 아와코미나토역 - 아와카모가와역 (→ 후토미역)
이 외에도,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리는 대형 이벤트(도쿄 모터쇼, Interop Tokyo, CEATEC JAPAN 등) 개최 시에는 도쿄역 - 카이힌마쿠하리역 구간에서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단, 2009년 도쿄 모터쇼 임시 열차 이후에는 '사자나미'로 운행되고 있다).
3. 1. 정차역
와카시오는 게이요선 및 소토보선을 운행하는 특급열차이다.[1] 정규 운행 시점을 기준으로, 도쿄역에서 출발하여 (가이힌마쿠하리역) - 소가역 - (도케역) - 오아미역 - 모바라역 - 가즈사이치노미야역 - 오하라역 - (온주쿠역) - 가쓰우라역 - (가즈사오키쓰역) - 아와코미나토역 - 아와카모가와역에 정차한다.[1]일부 열차는 가즈사-이치노미야에서 종착하며, 가쓰우라와 아와-가모가와 사이에서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로 운행되기도 한다.[5] ( ) 안은 일부 열차만 정차하는 역이다.
신주쿠에서 출발/도착하는 '신주쿠 와카시오'는 주말에 운행되며,신주쿠역 - 아키하바라역 - 긴시초역 - 후나바시역 - 지바역 - 소가역 - 모바라역 - 가즈사이치노미야역 - 오하라역 - 온주쿠역 - 가쓰우라역 - 우바라역 - 가즈사오키쓰역 - 아와코미나토역 - 아와아마쓰역 - 아와카모가와역 - 후토미역과 같은 역순으로 정차한다.[3] 2024년 3월 기준으로, ''신주쿠 와카시오''는 더 이상 아키하바라 또는 쓰다누마에 정차하지 않는다.[4]
연선에서 이벤트 개최 시에는 해당 최근접역에 임시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19]
3. 2. 운행 시각
하행선은 홀수 호번을, 상행선은 짝수 호번을 붙여 운행한다. 1호와 2호, 4호를 제외하고 약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1호를 제외한 모든 하행 열차는 매시 00분에 도쿄역을 출발하도록 시간표가 맞추어져 있다. 도쿄역에서 소가역까지는 33분, 모바라역까지는 56분, 가즈사이치노미야역까지는 1시간 2분, 가쓰우라역까지는 1시간 27분, 아와카모가와역까지는 1시간 55분이 걸린다.하행 1호, 7호, 19호, 23호, 27호와 상행 8호, 10호, 18호, 30호는 가쓰우라 역과 아와카모가와 역 사이를 보통 열차 등급으로 운행하며, 모든 역에 정차한다. 이 구간에서는 별도의 특급 요금을 받지 않는다.
한편,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신주쿠역을 출발하는 《신주쿠와카시오》 호가 운행된다. 주오 본선과 소부 본선을 경유해 운행하며, 신주쿠발 열차는 우치보선 후토미역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한다.
3. 3. 사용 차량
마쿠하리 차량 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E257계 전동차 500번대의 5량 편성과 동일본 여객철도 255계 전동차의 9량 편성을 사용하고 있다. "보소 뷰 익스프레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255계는 1993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6] E257계는 2004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E257계 차량에는 특실 "그린샤"가 없다.[5]1972년 7월 운행 개시 당시에는 183계를 사용하였으나,[5] 2004년 10월에 255계와 E257계로 통일되었다. 255계는 2005년 12월까지 "'''뷰 와카시오'''"라는 열차명으로 운행되었으며,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E257계 500번대로 교체되어 정기 운행에서 철수했다.[6] 다만, 임시 열차 등에서는 이후에도 운용될 수 있다.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 이후, E257계 5량 편성이 운행되며 전 차량 지정석으로 운영된다. 1호차는 도쿄 방면에 위치한다.[1][7][8]
1 | 2 | 3 | 4 | 5 |
지 | 지 | 지 | 지 | 지 |
- 전 차량 금연
- 장애인 대응 좌석은 2호차
- 지=일반 차량 지정석
4. 열차명의 유래
「와카시오」라는 명칭은 소조 시기부터 대조 시기에 걸쳐 조수 간만의 차가 커지는 조류로, 쿠로시오의 별칭이기도 한 「와카시오(젊은 조수)」에서 유래되었다. 방총 각 선을 달리는 열차명에는 바다에 관한 것이 많다.
5. 각주
참조
[1]
서적
JR Timetable
Kotsu Shimbunsha
2016-04
[2]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schedule change in March 2017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Chiba branch
2017-12-15
[3]
웹사이트
20231215_c01.pdf
https://www.jreast.c[...]
2024-12-04
[4]
웹사이트
「特急 新宿わかしお号」から「特急 新宿わかしお1・2号」&秋葉原・津田沼は通過へ(2024.3.17)
https://taka110.coco[...]
2024-12-03
[5]
서적
JR新幹線&特急列車ファイル
Kōtsū Shimbun
[6]
웹사이트
2023【ダイヤ改正日】 2024年3月16日(土) - JR東日本 (PDF)
https://www.jreast.c[...]
JR East
2023-12-15
[7]
서적
JR電車編成表 2012冬
JRR
2011-10
[8]
웹사이트
千葉を走る列車>わかしお
https://www.jreas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Chiba branch
[9]
서적
こだわりの新幹線&特急列車ガイド
Ikaros Publishing
2000-08
[10]
서적
列車名鑑1995
Railway Journal
1995-08
[11]
서적
国鉄・JR列車名大辞典
Chuoshoin Publishing Co., Ltd.
2001-07
[12]
웹사이트
房総特急 引き潮 高速道充実で利用者減少
http://www.tokyo-np.[...]
The Chunichi Shimbun
2015-03-25
[13]
웹사이트
2023【ダイヤ改正日】 2024年3月16日(土) - JR東日本 (PDF)
https://www.jreast.c[...]
JR East
2023-12-15
[14]
서적
最後の国鉄直流特急型電車
JTBパブリッシング
[15]
웹사이트
房総特急しおさい・わかしお・さざなみ変わります
https://www.jreast.c[...]
JR東日本公式サイト
[16]
문서
このうち上り2本は土休日運休。
[17]
문서
このうち2本は土休日運休。
[18]
문서
土休日運休。
[19]
문서
「[[ブリヂストンオープンゴルフトーナメント]]」開催時は、袖ヶ浦カンツリークラブ袖ヶ浦コース最寄の[[鎌取駅]]に、[[富士通レディース]]開催時は、東急セブンハンドレッドクラブ最寄りの[[土気駅]]に停車する。
[20]
문서
JR時刻表 2024年4月号
交通新聞社
[21]
뉴스
255系、定期運転終了だったはずでは……!? ダイヤ改正後にも「わかしお」「さざなみ」で運用へ、その理由は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24-02-27
[22]
문서
勝浦駅から普通列車となる15号を255系で運行する場合、普通列車区間のみのグリーン券は発売しない。
[23]
문서
'『特急10年』 p.196'
[24]
문서
'『特急10年』 pp.58-59'
[25]
문서
'『特急10年』 pp.86-87'
[26]
문서
'『特急10年』 pp.99-101'
[27]
뉴스
JR東日本 利用者本位をさらに深度化 来月1日ダイヤ改正を見る 千葉、常磐方面に主眼
交通新聞社
1995-11-06
[2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9-07-01
[29]
웹사이트
2000年12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II.在来線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00-09-22
[30]
간행물
鉄道記録帳2002年12月
鉄道友の会
2003-03-01
[31]
간행물
鉄道記録帳
鉄道友の会
2005-01
[3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5-07-01
[33]
간행물
201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千葉支社
2014-12-19
[34]
간행물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千葉支社
2021-12-17
[35]
뉴스
JR東日本「ビューさざなみ」東京~館山間運転「ビューわかしお」も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22-10-21
[36]
간행물
20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千葉支社
2023-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